개발 기록
210920 TIL 본문
내용
AWS 강의는 뭐 배울지 감이 안 왔는데 만든 소스를 배포해서 웹사이트로 나타내주는 서비스들에 대해 배우는거 였다. 내용이 쉽지는 않지만 웹프로그래밍 보다는 괜찮게 들을 것 같기도..
얼른 다 듣고 웹프로그래밍 심화도 어떤 내용인지 대략 보고 싶은데 어렵다고 해서 걱정이다
초반에 연휴가 낀게 다행이라고 해야할지.. 마음 준비 단단히 해야지..
# 개발 업무내용
- 코드 리뷰 직접 해보기
- git
-[origin/HEAD] : 현재 작업중인 commit , origin 의 최신 commit
-pull과 petch : pull은 원격 commit 내역 가져와서 로컬에 합친다. petch는 합치지않고 내역을 가져오기만 한다.
-fork 와 clone : fork는 다른 repo에 PR 하기 위해서 프로젝트 복사 ( 수정 가능 ) fork후 clone
- AWS 클라우드 기초 강의 ( ~ 2주차 절반 )
-AWS : 우리가 만든 서비스를 돌아가게 해주는 곳, 인프라 라고도 한다.
-S3 : 데이터를 저장하는 스토리지 서비스, 버킷을 만들어 파일과 폴더 업로드 가능
-IAM : 계정 관리 서비스 , S3이랑 cloudfront 랑 프로그램을 연동할때 사용한다
-MSA (프론트엔드와 백엔드 분리), 백엔드 서비스 조차도 잘게 잘게 분리해서 관리한다.
-CI/CD 통합 : 소스저장소와 배포시스템 통합 (수정하면 바로 인프라에 반영)
—> github action : github에서 제공하는 배포 시스템
: github action과 IAM 을 연동하여 s3와 cloudfront에 대한 권한을 설정해줌
+배포 순서 : 수정된 파일을 원격repo에 push → github action 실행 → s3에 파일 업로드 → clounfront에서 새롭게 캐싱됨 → 웹사이트에 바로 반영
# 이슈
- git 강의자료를 다시 한번 자세히 읽어보니 빼먹고 안 읽은 내용이 있더라 PR 하는거 여기있다 ㅎ
근데 어떤 건 자동으로 PR 버튼이 생기고 안 생기는게 있던데 무슨 차이인지 모르겠다
- S3에서도 도메인이 생기고 cloudfront에서도 도메인이 생기면 같은 웹사이트인데 두개의 주소가 생기는 것인가?! 두개 다 쓸 수있는건가? s3은 네트워크 접속때마다 과금된다고 하니 접속안하고 나두면 되는건가?! 내일 찾아보기
# To-do List
- 오전안에 개념정리 필수......
- aws 강의 듣기
- 프로젝트 아이디어 고민?
'T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210922 TIL 추석 연휴 마지막 (0) | 2021.09.24 |
---|---|
210921 TIL (0) | 2021.09.24 |
210919 WIL (1주차) (0) | 2021.09.20 |
210918 TIL (0) | 2021.09.19 |
210917 TIL (0) | 2021.09.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