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TIL (93)
개발 기록
jwt 검증 필터를 구현하던 중에 저렇게 노란 줄이 떴다.오버라이딩 메서드가 애너테이션으로 명시되지 않은 경우슈퍼클래스의 메서드에 @NotNull 또는 @Nullable 애너테이션이 지정되어 있는데,이를 서브클래스의 오버라이딩 메서드에서 반복하지 않으면 발생하는 문제 OncePerRequestFilter와 @NonNullApiSpring Web에서 OncePerRequestFilter는 org.springframework.web.filter 패키지에 위치.이 패키지에는 @NonNullApi가 패키지 수준에서 적용되어 있었다. 그래서 서브 클래스에도 적용시키라는 뜻이였다.// org.springframework.web.filter.package-info@NonNullApi@NonNullFieldspacka..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48639816/tomcat-one-or-more-listeners-failed-to-start Tomcat: One or more listeners failed to start I have an application which is not starting up after I added/upgraded some dependencies. It logs an error saying SEVERE: One or more listeners failed to start. Full details will be found in the stackoverflow.com logging.properties 파일 추가 후 재기동 했더니 오류 로그 확인 가능! 헤이..
https://blusky10.tistory.com/entry/docker-container-ip-%ED%99%95%EC%9D%B8%EB%B0%A9%EB%B2%95
job@Log4j2@DisallowConcurrentExecution@Componentpublic class TestJob extends QuartzJobBean { @Autowired private JobLauncher jobLauncher; @Qualifier("TestJob") @Autowired private Job job; @Override protected void executeInternal(JobExecutionContext context) { try { log.info("[TestJob Job 실행]"); JobParameters jobParameter = new JobParametersBuilder..
https://koonsland.tistory.com/120 [MongoDB] 검색(2): Array 또는 Object 검색 방법 앞선 포스팅에서 MongoDB의 Document를 찾는 방법을 알아보았습니다. 2021.03.13 - [쿤즈 Server/MongoDB] - [MongoDB] Atlas 명령어 연결 및 find() 검색기능 사용방법 [MongoDB] Atlas 명령어 연결 및 find() 검색기능 사 koonsland.tistory.com { "_id" : ObjectId("61e93974a9b44"), "summary" : { "errCnt" : 0, "successCnt" : 2, "reqCnt" : 2 } } db.getCollection('record').find({"summary.r..
https://tomining.tistory.com/178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49813666/table-dbname-hibernate-sequence-doesnt-exist\ Table 'DBNAME.hibernate_sequence' doesn't exist I have a SpringBoot 2.0.1.RELEASE application using spring data / jpa org.springframework.boot spring-boot-starter-data-... stackoverflow.com 서비스단 테스트를 돌리는데 테이블 이름 뒤에 _seq 를 붙여 찾는다. 시퀀스 생성 종류를 AUTO에 IDENTITY로 변경하여 해결 원인 관련 참고 글 https://hibernate.atlassian.net..
JVM이 클래스를 실행하는 절차 1. 해당 클래스를 현재 디렉토리에서 찾는다 2. 찾으면 클래스 내부에 있는 static 메서드를 메모리로 로딩한다. 3. static zone에서 main() 메소드를 실행한다. method Area - method 의 byte code가 저장되는 영역 stack Area - 메서드가 호출되면 메서드의 호출정보가 저장되는 영역 (call stach frame area) heap Area - 객체가 생성되는 영역 (new 연산자) literal Poo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