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170)
개발 기록
-놓친 것 $.ajax({ type: "POST", url: "/articles", contentType: 'application/json; charset=utf-8', data: JSON.stringify(data), success: function (response) { alert("저장되었습니다!") window.location.reload(); } }) 멍청하게 data를 {'data' : data} 로 썼다 @EnableJpaAuditing @SpringBootApplication public class Test2Applicatio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pringApplication.run(Test2Application.class, ar..
강의도 들을 거지만 이번주에 구현테스트를 스프링으로 해보는 연습을 해봐야겠다. 저번주 첫번째 구현테스트를 다시 해보면서 내가 빠트린 부분들.. public class MemoService { private final MemoRepository memoRepository; public Memo createMemo(MemoRequestDto memoRequestDto){ Memo memo = new Memo(memoRequestDto); memoRepository.save(memo); return memo; } public List getMemo(){ return memoRepository.findAll(); } } -레포지토리를 가져올때 final을 빼먹었다. -새로운 메모를 생성할떄 dto를 안 넣어줌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dbE5Um/btrkYgiI8ry/lVFHso8qPjiKvl9XkzEEL1/img.jpg)
**도커란?! -애플리케이션을 개발 및 실행하기 위한 개방형 플랫폼. 도커를 사용하면 애플리케이션을 인프라에서 분리할 수 있으므로 소프트웨어를 빠르게 제공할 수 있다. (컨테이너 기반의 오픈소스 가상화 플랫폼) 도커는 컨테이너라고 하는 느슨하게 격리된 환경에서 애플리케이션을 패키징하고 실행할 수 있는 기능 제공. 이미지의 실행 가능한 인스턴스 다양한 프로그램, 실행환경을 컨테이너로 추상화하고 동일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프로그램의 배포 및 관리를 단순하게 해준다. 이미지는 컨테이너 실행에 필요한 파일과 설정값 등을 포함하고 있는것 . 도커 컨테이너를 만들기위한 지침 읽기 전용 템플릿. **도커 실습하다 생긴 오류들 (웃긴게 몇 시간 후에 삭제 하고 첨부터 다시 해보니까 에러 하나도 안 되고 잘 됨 뭘까)..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IRATr/btrkK8E1COp/NZ29eQWegG41Abp0luWprk/img.png)
이번주는 좀 머리 아프다 새로운 게 한꺼번에 많이 들어와서 소화가 잘 안됐당 들을때는 이해가 되는데 듣자마자 날아가 버리는 것 같다 ㅠㅠ TIL 복습 한다 했는데 실패 ^^,, 왜케 놀았지 *이번주 배운 것 (생각 나는 큰 것들,,) -레이어드 아키텍쳐 -rest api - 쿠키.세션 -IOC 컨테이너, DI, bean -스프링 시큐리티 -테스트케이스 -영속성 컨텍스트 -aop aop는 방금 강의로 들었는데 스프링 주간 배운 것 중에 제일 신기했다. 그럼 이거 나오기전에는 진짜 일일이 했나? 그랬겠지 나는 예전보다 많이 편하게 배우고 있다고 생각이 들면서 그 당시 스프링도 경험해 보고 싶는 생각이 들었다. 강의 자료에서 스프링 aop 실제 동작을 설명해주실때 스프링 서버가 기동될때 핵심기능을 호출하는 어..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CvAc0/btrktdl8hwi/HRmuBk2nNJQZi83wJsQIZ1/img.png)
머리 안 돌아가고 공부 안 되는 날.. IOC, DI, 빈은 알고 자자 ioc 컨테이너는 di(의존성 주입)라고도 한다. 객체가 생성되거나 반환된 후 객체 인스턴스에 설정된 속성을 통해서만 객체가 종속성( 즉, 함께 작업하는 다른 객체)을 정의하는 프로세스이다. 그런 다음 컨테이너는 빈을 생성할때 이러한 종속성을 주입한다. >>!?! 공식문서 번역본이라 이해가 잘 안된다.. 될랑말랑 어렵다 그래서 블로그 참고참고 쉬운말로,, DI란 객체를 직접 생성하는 것이 아니라 외부에서 생성한 후 주입 시켜주는 방식! ex) 1. 클래스 안에서 new 라는 키워드를 통해 직접 생성해서 사용 class Sample{ private Apple apple = new Apple(); } 2. 샘플테스트 클래스에서 객체를 생..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lqOCb/btrkgIHzWfL/skm1KYjTNlVKQlk16pOEU1/img.png)
쓰다가 생각이 든게 이렇게 쓰면 나중에 읽을까..? 제목만 보고는 뭐 썻는지도 모를텐데.. 주기적으로 til 복습해야겠다 주말에라든지 이걸 지금 생각하다니..!! 매컴싸 !! 오늘 결석.. 복습복습 어제 실강때 인터페이스를 쓰는 이유가 다형성때문이라고 클래스 사용시 다중 상속이 불가능하다고 메모해놨다. 근데 오늘 주제가 자바 다이아몬드 문제 !! --다이아몬드 문제 두개 이상의 클래스를 상속받은 D에서 특정 메소드를 실행시키려고 할때 그 메소드를 B,C가 모두 가지고 있을때. 어떤 상위 클래스의 메소드인지 알 수 없다 하지만 인터페이스는 실질적인 구현이 이루어지지 않고 메소드에 대한 선언만 하고 있기 때문에 다중상속이 가능. +) 인터페이스도 메소드 선언 시에 default를 명시하게 되면 인터페이스 내..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enAwC/btrkimphSOI/kwwzilBDvbQPJ2QE9iBjm1/img.png)
오늘 실강때 알게된 것 ! 프레젠테이션 레이어에서 레포지토리 레이어로 바로 접근하면 잘 못 된거구나 어떻게보면 당연한 건데 인지하지 못 하고 있었다 그래서 튜터님이 죄악을 저질렀다고 하셨을때도 어떤 부분인지 몰랐는데 이번에 인지했다. 그래서 컨트롤러에서 repository.save( ) 같은 리포지토리에 접근하는 코드는 고쳐야한다. 컨트롤러 - 서비스 처럼 ** @RequestBody : 메소드 매개변수가 웹 요청 본문에 바인딩(연결)되어야 함을 나타내는 주석 (Annotation which indicates that a method parameter should be bound to the web request body.) @RequestBody공식문서 RequestBody docs.spring.io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