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JAVA/스프링 (12)
개발 기록
스프링 빈 조회 - 상속관계 부모 타입으로 조회하면, 자식 타입도 함께 조회한다. 그래서 모든 자바 객체의 최고 부모인 Object타입으로 조회하면, 모든 스프링 빈을 조회해버림 실제 테스트코드 짤때는 sout 사용하지말고 테스트 통과여부로만 보이게 만드는 것이 좋다 BeanFactory -스프링 컨테이너의 최상위 인터페이스 -스프링 빈을 관리하고 조회하는 역할 담당 -getbean( ) 을 제공 ApplicationContext -BeanFactory 기능을 모두 상속받아서 제공 -빈팩토리와의 차이는? -- 애플리케이션 개발시 필요한 수많은 부가기능을 제공함 public interface ApplicationContext extends EnvironmentCapable, ListableBeanFacto..
스프링 컨테이너는 @Configuration이 붙은 클래스를 설정 정보로 사용한다. 여기서 @Bean이라 적힌 메서드를 모두 호출해서 반환된 객체를 스프링 컨테이너에 등록. 이렇게 스프링 컨테이너에 등록된 객체를 스프링 빈이라고 한다. 스프링 빈은 applicationContext.getBean( ) 메서드를 사용해서 찾을 수 있다. @Configuration public class AppConfig { @Bean public MemberService memberService() { return new MemberServiceImpl(memberRepository()); } @Bean public Memory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 return new Memor..
-프로그램의 제어 흐름을 직접 제어하는 것이 아닌 외부에서 관리하는 것을 제어의 역전이라 한다. -애플리케이션 실행시점(런타임)에 외부에서 실제 구현 객체를 생성하고 클라이언트에 전달해서 클라이언트와 서버의 실제 의존관계가 연결 되는 것을 의존관계 주입 이라 한다. -의존관계 주입을 사용하면 클라이언트 코드를 변경하지 않고, 클라이언트가 호출하는 대상의 타입 인스턴스를 변경 가능 -정적인 클래스 의존관계를 변경하지 않고, 동적인 객체 인스턴스 의존관계를 쉽게 변경 가능 -AppConfig 처럼 객체를 생성하고 관리하면서 의존관계를 연결해 주는 것을 IoC컨테이너 또는 DI컨테이너라고 함 출처 인프런 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스프링은 객체 지향 언어가 가진 강력한 특징을 살려내는 프레임워크 좋은 객체 지향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게 도와주는 프레임워크 역할과 구현을 분리 객체 설계시 역할(인터페이스)를 먼저 부여하고, 그 역할을 수행하는 구현 객체 만들기 다형성의 본질 인터페이스를 구현한 객체 인스턴스를 실행 시점에 유연하게 변경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를 변경하지 않고, 서버의 구현 기능을 유연하게 변경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를 도입하면 추상화라는 비용 발생 한 눈에 어떤 클래스를 사용하는지 알 수 없어 들어가서 봐야됨 출처 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